정보*나눔방☆

집중호우 발생시 국민행동요령

행福이 2011. 7. 27. 16:01

 

 

 

기상청이 밝힌 집중호우 발생시 국민행동요령

 

◇호우주의보

 

▲도시지역

-저지대 및 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준비
-노후가옥, 위험축대, 대형공사장 등 시설물 점검 및 정비
-가로등, 신호등 및 고압전선 접근 금지
-옥·내외 전기수리 금지
-각종 공사장의 안전 조치
-고속도로 이용 차량의 감속 운행
-낙뢰시 낮은지역 또는 건물안 등 안전지대로 대피
-송전철탑 도괴 또는 누전, 방전 발견 시 인근기관이나 한전에 즉시 연락
-노약자 외출 자제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특보상황 청취
-하수도 및 배수로의 정비 점검

 

▲농촌·산간지역

-저지대 및 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준비
-노후가옥, 위험축대, 대형공사장 등 시설물 점검 및 정비
-가로등, 신호등 및 고압전선 접근 금지
-옥·내외 전기수리 금지
-각종 공사장의 안전 조치
-고속도로 이용 차량의 감속 운행
-낙뢰시 낮은지역 또는 건물안 등 안전지대로 대피
-송전철탑 도괴 또는 누전, 방전 발견 시 인근기관이나 한전에 즉시 연락
-노약자 외출 자제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특보상황 청취
-하수도 및 배수로의 정비 점검
-주택주변의 산사태 등 점검 및 주민대피준비
-농작물 보호조치
-용·배수로 점검
-소하천 및 간이 취입보 등의 정비
-산간계곡 야영객 대피
-농촌·산간지역의 제반시설 보호 및 보강
-배수문·양수기의 점검 및 수문조작 검토

 

▲해안지역

-저지대 및 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준비
-노후가옥, 위험축대, 대형공사장 등 시설물 점검 및 정비
-가로등, 신호등 및 고압전선 접근 금지
-옥·내외 전기수리 금지
-각종 공사장의 안전 조치
-고속도로 이용 차량의 감속 운행
-낙뢰시 낮은지역 또는 건물안 등 안전지대로 대피
-송전철탑 도괴 또는 누전, 방전 발견 시 인근기관이나 한전에 즉시 연락
-노약자 외출 자제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특보상황 청취
-하수도 및 배수로의 정비 점검
-해안저지대 및 위험지구에 대한 경계강화 및 주민 안전지대 대피 준비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 영업자제 및 대피조치

 

◇호우경보

 

▲도시지역

-저지대 및 상습침수지역 주민 대피
-대형공사장 위험축대 등 시설물 주변 접근금지
-가로등, 신호등 및 고압전선 접근금지
-침수도로구간의 보행ㆍ접근금지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 영업중지 및 대피조치
-옥·내외 전기설비 고장시 수리금지
-수방자재 및 구호물자 활용
-피해지구의 응급 복구
-낙뢰시 낮은지역 또는 건물안 등 안전지대 대피
-위험시설물 사전 제거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감속운행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홍수예보 청취
-아파트 등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 및 하수도 맨홀 등 접근금지
-정전대비 비상대처준비 및 비상시 연락방법, 교통이용수단 확인 등

 

▲농촌·산간지역

-저지대 및 상습침수지역 주민 대피
-대형공사장 위험축대 등 시설물 주변 접근금지
-가로등, 신호등 및 고압전선 접근금지
-침수도로구간의 보행 및 접근금지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 영업중지 및 대피조치
-옥·내외 전기설비 고장시 수리금지
-수방자재 및 구호물자 활용
-피해지구의 응급 복구
-낙뢰시 낮은지역 또는 건물안 등 안전지대 대피
-위험시설물 사전 제거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감속운행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홍수예보 청취
-아파트등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 및 하수도 맨홀 등 접근금지
-정전대비 비상대처준비 및 비상시 연락방법, 교통이용수단 확인 등
-주택주변의 산사태 등 점검 및 위험지역 주민대피
-농작물 보호조치
-용·배수로 보수
-논둑 보수 및 물꼬 조정
-소규모 교량은 안전확인 후 이용
-산사태 위험지구 경계강화 및 접근 금지
-산간계곡 야영객 대피
-농기계 등 안전조치 및 가축 등 대피조치
-이웃간 연락방법 및 비상시 대피방법 확인

 

▲해안지역

-저지대 및 상습침수지역 주민 대피
-대형공사장 위험축대 등 시설물 주변 접근금지
-가로등, 신호등 및 고압전선 접근금지
-침수도로구간의 보행 및 접근금지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 영업중지 및 대피조치
-옥·내외 전기설비 고장시 수리금지
-수방자재 및 구호물자 활용
-피해지구의 응급 복구
-낙뢰시 낮은지역 또는 건물안 등 안전지대 대피
-위험시설물 사전 제거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감속운행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홍수예보 청취
-아파트 등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 및 하수도 맨홀 등 접근금지
-정전대비 비상대처준비 및 비상시 연락방법, 교통이용수단 확인 등
-소규모 교량은 안전확인 후 이용
-해안저지대 주민 경계강화 및 안전지대 대피
-비상시 연락방법, 교통수단 확인 등..

 

 

 

기상청이 제시한 비 피해 대비 요령

 

◇도시지역 =

 

우리 집과 주변에 비가 새거나

무너져 내릴 곳이 없는지 사전에 점검해 보수해야 한다.

집 안팎의 하수구는 물론 배수구의 막힌 곳을 정비하고

오래된 축대나 담은 넘어질 우려가 없는지 미리 살펴 고친 뒤

위험한 곳은 표지판을 설치한다.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손전등, 비상식량, 식수, 비닐봉지 등을 준비한다.

호우주의보가 내려진 곳의 저지대나 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은

대피를 준비하고 노후가옥과 위험축대,

대형공사장 등에 대한 점검과 정비가 필요하다.

가로등, 신호등, 고압전선 접근을 피하고

옥내외 전기수리도 미루는 것이 좋다.

주거지가 수해상습지구, 고립지구, 하천범람 우려 지구 등

어떤 지역에 속하는지 확인해 대피로나 지정된 학교 등의

대피장소, 헬기장 등을 알아둬야 한다.

가까운 행정기관의 전화번호는 온 가족이 알 수 있는 곳에 비치하고

비상시 이웃과 연락할 방법도 마련해 놓는 것이 좋다.

벼락이 칠 때에는 낮은 지역이나 건물 안과 같은 안전지대로 대피하고

라디오나 TV를 통해 기상예보와 특보상황을 꼼꼼하게 챙겨야 한다.

호우경보가 발효될 경우 정전에 대비하는 동시에 비상 시 연락방법과

이용 가능한 교통수단을 확인해야 한다.

아파트나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 하수도 맨홀 등에는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

 

◇농촌·산간지역 =

 

배수로를 정비하고 임시 건물, 비닐하우스 등은

버팀대를 보강하거나 단단히 묶도록 한다.

위험한 급경사나 산사태가 날 공산이 큰 곳은 미리 둘러보고

위험하다고 판단하면 일반인의 접근을 막는다.

농작물 보호조치를 하고 산과 계곡의 야영객은 대피해야 한다.

주택주변의 산사태 등에 대비하고 배수문과 양수기를 점검하는 한편

 수문조작을 검토해야 한다.

호우경보가 내려지면 소규모 교량은 안전을 확인한 뒤 이용해야 하고

 농기계에 대한 안전조치와 함께 가축 등에 대한 대피조치도 준비해야 한다.

이웃과 연락할 방법은 물론 비상 시 대피방법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어촌·해안지역 =

 

많은 비가 오기 전 수산물 증ㆍ양식 시설을 점검해 균열되거나

파손된 부분을 손질하고 어선의 통신장비, 항해장비,

구명장비 등의 기능을 점검해 유사시 즉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등산, 해수욕장, 낚시터 등 야영장에서는

라디오를 휴대해 기상 상황을 숙지하고

기상이 급격히 나빠질 때는 스스로 판단하지 말고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것이 현명하다.

해안 저지대 및 위험지구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고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 지하공간은 영업을 자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