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352

명이나물(산마늘)의 영양성분과효능

※명이나물(산마늘)의 영양성분※ 산마늘은 생약명으로 격총 이라고 하며 다른 이름으로는 산총(山蔥) 식물 전체에서 강한 마늘 냄새가 난다 하여 이름지어졌고, 이 풀을 먹으면 장수한다는 뜻으로 라 불리고, 울릉도에서는 옛날 춘궁기에 구황 식물로 사용하여 명(命)이라고 부른다. 멩이. 맹이 라고도 한다. 울릉도에서는 이른봄에 먹는 중요한 산나물의 하나이다. 조선시대 때 울릉도로 이주한 1백여명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겨울동안 육지에서 가져간 식량이 떨어졌는데 기후가 안좋아 배가 들어올 수도 없었다. 이들이 굶어죽을 위기 속에서 발견한 것이 눈을 뚫고 돋아난 산마늘 싹이었다고 한다. 싹과 뿌리를 캐서 먹으며 석달 정도의 긴 겨울을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한다. 산마늘의 약효는 비늘줄기(알뿌리)에 있고 8~9월에 채..

정보*나눔방☆ 2023.04.08 (147)

전국 벚꽃 개화시기&축제 일정

🌸벚꽃 개화시기(개화시기/만개시기)🌸 부산 : 3월 24일/3월 30일 창원 : 3월 21일/3월 28일 울산 : 3월 24일/3월 30일 여수 : 3월 24일/3월 30일 광주 : 3월 22일/3월 29일 목포 : 3월 28일/4월 3일 전주 : 3월 22일/3월 29일 대구 : 3월 26일/4월 2일 포항 : 3월 25일/4월 1일 안동 : 3월 30일/4월 5일 대전 : 3월 27일/4월 2일 청주 : 3월 27일/4월 2일 서산 : 4월 4일/4월 11일 수원 : 4월 1일/4월 8일 서울 : 3월 28일/4월 3일 인천 : 4월 3일/4월 10일 강릉 : 3월 31일/4월 5일 춘천 : 4월 5일/4월 12일 서귀포 : 3월 20일(개화)/3월 27일(만개)🌸벚꽃 개화시기 2023 축제 일정🌸 ..

정보*나눔방☆ 2023.04.04 (134)

달래의 영양성분과 효능

○°°달래의 영양성분°°○ 달래는 예로부터 '들에서 나는 약재'라고 해서, 봄에 가장 먼저 임금님께 바치던 고급 식품이였습니다. 달래는 냉이와 함께 봄을 알려주는 대표적인 봄나물로 톡 쏘는 매운맛이 봄의 미각을 자극하는데, 이른 봄부터 시골들이나 논길에 보면 커다란 덩이를 이루며 자라나고 있습니다. 달래는 톡쏘는 매운 맛이 미각을 자극하며, 매콤하게 무쳐 먹거나 된장찌개 넣어 끓이면 맛이 좋으며, 특히 간장에 넣어 달래 간장양념을 만들어 먹으면 맛이 더욱 향긋하여 식용을 돋구게 합니다. 달래에는 비타민 C와 칼슘이 풍부해서 식욕 부진이나 춘곤증에 좋으며, 또 무기질과 비타민이 골고루 들어 있어 빈혈을 없애주고 간장 작용을 도와 주며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특히 열량이 낮아 다이어트에 효과적입니다.○°°달래..

정보*나눔방☆ 2023.04.02 (138)

자작나무의 성분과 효능

○°°자작나무의 성분과 효능°°○ 자작나무는 전국에 분포해 있으며, 깊은 산 양지에 많고, 키는 20~30m 정도이고 약효는 나무껍질에 있습니다. 채취기간은 연중 또는 수시로 할 수 있으며, 햇볕에 건조해야 하고, 나무껍질의 1회사용량은 10~15g 정도 될 것입니다. 자작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삼각형 또는 마름모 모양의 달걀형이고 가장자리에 이빨 같은 톱니 또는 겹톱니가 있다. 뒷면에는 잔털이 있거나 없고 엽맥 사이에 갈색 털이 있고, 꽃은 자웅동주인데 4~5월에 잎이 나오기 전에 원기둥 모양의 연한 붉은색 암꽃과 수꽃이 각각 따로 수상화서를 이루며 달려 있으며, 열매는 9~10월에 좁은 타원형의 견과가 익는데 열매의 날개가 열매의 너비보다 넓습니다.○°°자작나무의 효능°°○ 간염(肝炎) 나무껍질 10~..

정보*나눔방☆ 2023.03.29 (131)

소곱창의 영양성분과 효능

☆°°소곱창의 영양성분과 효능°°☆ 소의곱창은 소의 작은창자로써 곱창구이와 전골로 주로 사용되며, 곱이라 불리는 소의 소화액에 무기질, 효소가 풍부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좋은 식품 중의 하나다. 기가 허약한 사람이 섭취하면 기를 보충해 주고 또 산후 조리에도 특효가 있다. 고단백, 저 콜레스테롤 식품인 곱창은 씹는 맛도 쫄깃하며 술안주 시 분해 작용이 뛰어나 위벽보호, 알코올 분해, 소화촉진 등의 작용에 좋으며 여성들의 건강 다이어트 식품으로 적격이다. 여러가지 각종 양념을 첨가, 영양을 한층 더 높여 고소하고 쫄깃쫄깃한 맛에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 드실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 1.정력과 기운을 돋우고 비장과 위를 튼튼히 해준다. (補中益氣 養脾胃) 보중익기 양비위) 2.오장을 보호하며 어지럼..

정보*나눔방☆ 2023.03.25 (133)

도꼬마리(창이자)의 성분과 효능

♧도꼬마리(창이자)의 성분♧ 가장 널리 흔하게 쓰는 민간 약초의 하나이다. 씨앗을 창이자. 시이실, 호시,지규, 시일, 상사 등으로 부르며 옛부터 나병, 축농증, 비염, 관절염 등의 치료약으로 이름이 나 있다. 도꼬마리는 엉거시과에 딸린 한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에 자란다. 키는 2미터쯤 자라고 줄기와 잎에 털이 많으며 잎은 톱니가 있는 둥그스름한 세모 꼴이다. 여름에 연한 녹색 꽃이 피어 가을에 열매가 익는데 열매에 가시가 많이 스치기만 해도 옷에 잘 달라붙는다. ♧도꼬마리(창이자)의 효능♧ 간 건강 회복 도꼬마리는 간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데 효과적입니다. 잦은 음주로 인해 간 기능이 저하될 경우 나타나는 피로감이나 무기력을 증을 해소하고 술독을 풀어 주어 간을 건강하게 회복시켜 줍니다. ..

정보*나눔방☆ 2023.02.26 (136)

생강의 영양 성분과 효능

▶️생강의 영양 성분◀️ 생강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 풀인 생강의 신선한 뿌리줄기인데 동남아시아가 원산지로 우리나라 농가에서도 많이 재배하고 있다. 생강은 고기와 생선의 비린 냄새를 없애고, 식중독을 예방하기 때문에 식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고, 한약재로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생강을 말린 건강은 생강보다 효과가 강력하며, 고려시대의 [향약구급방]에도 약용 식물로 기록되어 있고, 새앙 또는 새양이라고도 부르며, 학명은 Zingiber officinale이다. 생강은 키 높이가 30∼50cm에 달하고, 매운 맛과 향긋한 냄새가 난다. 생강의 뿌리줄기는 옆으로 자라고 다육질이며 덩어리 모양을 하고 있다. 생강의 잎은 바소꼴이고 양끝이 좁고 밑 부분이 긴 잎집이 된다. 열대 지방에서는 8월에 잎집에 싸인 길이 ..

정보*나눔방☆ 2023.02.20 (142)

놀라운 계피의 영양 성분과 효능

☔️°°계피의 성분°°☔️ 감초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는 한약재 계피(桂皮)이름대로 계피나무의 얇은 껍질이다. 중국산.실론(스리랑카)산이 유명하다. 서양에선 이 중 실론산을 '진짜 계피'(true cinnamon) 라고 부른다. 실론산은 맛이 달고 색이 밝은 편이다. 반면 중국산은 한약 냄새가 강하고 값이 싸다. 우리나라 제주도 일부 지역에서 재배해 유통 중인 계피의 주류도 중국산이다. 계피는 달고 신맛과 향기를 지닌 인류의 가장 오래된 향신료 중 하나 입니다. 단 음식에 넣으면 단맛을 더 높인다. 설탕이 든 케이크. 푸딩.쿠키나 사과잼에 계피 분말을 뿌리는 이유입니다. 수정과도 설탕과 계피가 주원료다. 과거 서양에선 계피가 '사랑의 징표'로 쓰였다고합니다. ☔️°°계피의 효능°°☔️ 1°°생리통 완화 이..

정보*나눔방☆ 2023.02.14 (130)

박주가리의 영양성분과 효능

◇°°박주가리의 성분°°◇ 들판의 풀밭에서 자란다. 열매가 다 익으면 껍질이 저절로 갈라져 그 속에서 하얀 꽃 실을 품은 씨앗들이 바람을 타고 낙하산처럼 날아간다. 땅속줄기가 길게 벋어가고 여기서 자란 덩굴이 길이 3m 정도로 자라며, 자르면 흰젖 같은 유액(乳液)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긴 심장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끝은 뾰족하고 뒷면은 분록색이며 잎자루는 길이 2∼5cm이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화관은 넓은 종처럼 생기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안쪽에 털이 털이 빽빽이 난다. 꽃은 넓은 바소꼴이며 겉에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다. 종자는 편평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한쪽에 명주실 같은 털이 있다. ◇°°박주가리의 효능°°◇ 자양강..

정보*나눔방☆ 2023.02.12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