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698

알아두면 편리한 화재관련 소방상식

알아두면 편리한 화재관련 소방상식 1. 구급차를 이용하면 요금을 받나요? ○ 소방서의 119구급대는 전국 어느곳에서나 무료입니다. ○ 소방서에서 운영하고 있는 119구급대는 이송거리 환자의 수 등과 관계없이 어떠한 경우에도 요금을 징수하지 않습니다. ○ 소방서에서는 출동을 더욱 신속히 할 수 있고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위급한 환자를 돌볼 수 있도록 구급환자가 발생한 장소에서 가장 가까운 곳의 소방파출소 119구급차를 출동시키고 있습니다. ○ 소방서의 119구급대는 환자나 환자의 보호자가 원하는 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 그러나 보건복지부의 인가를 받아 운영하고 있는 사설단체 또는 병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앰블란스차는 일정한 요금을 받고 있습니다. 2. 소방차가 출동하면..

정보*나눔방☆ 2009.05.08

이팝나무꽃

이팝나무라는 이름의 연유에 대해서는 몇 가지 추론이 있다. 첫째는 입하(立夏) 무렵에 꽃이 피므로 입하가 이팝으로 변음하였다는 것이고, 둘째는 이 꽃이 만발하면 벼농사가 잘 되어 쌀밥을 먹게 되는 데서 이팝(이밥, 즉 쌀밥)이라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며, 셋째는 꽃이 필 때는 나무가 흰 꽃으로 덮여서 쌀밥을 연상시키므로 이팝나무가 되었다는 것이다. 한자어로는 육도목(六道木)이라 한다

정보*나눔방☆ 2009.05.06

보행자 좌측통행→우측통행으로 바뀐다

보행자 좌측통행→우측통행으로 바뀐다 비보호 좌회전 확대, 우회전 신호등 도입 경찰, 교통운영체계 선진화 방안 발표 일제 강점기인 지난 1921년 이후 시행되고 있는 좌측 보행이 88년만에 우측 보행으로 바뀐다. 대통령 직속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는 29일 전체회의를 열고, 좌측 보행을 우측 보행으로 바꾸는 내용의 보행문화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오랜 기간 관습화된 통행 방법 변경에 따른 국민 불편과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청회·정책토론회 등 여론수렴 과정을 거쳐 국민적 공감대를 충분히 형성한 뒤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통행 방식이 좌측 통행으로 굳어진 것은 지난 1921년부터.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규정인 1905년 대한제국 규정에서는 우측 통행을 명시했으나 1921년 조..

정보*나눔방☆ 2009.04.30

튜율립 꽃

꽃말- 명성, 애정, 사랑의 고백, 황색 - 헛된 사랑, 백색 - 실연 국내분포,전국(식재), 해외분포,터키(원산지), 전 세계(식재), 서식지,정원 및 화단, 꽃모양이 머리에 쓰는 터번과 비슷하여 튜립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왕관같은 꽃, 검과 같은 잎, 황금색의 뿌리, 꽃의 여신이 억울한 소녀의 넋을 위로하여 만든 꽃이라고 전해진다. 꽃색이 매우 화려하며 여러가지 색깔의 품종이 개발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필요한 알뿌리 전량을 네델란드나 일본 등지에서 수입(연간 1000만구 이상) 해서 쓰고 있다.

정보*나눔방☆ 2009.04.22

소화기의 구조와 사용방법

1. 소화기 종류는 소화약제와 방출방식으로 구분됩니다 ① ‘소화약제’에 따라 분말소화기, 이산화탄소소화기(CO2소화기), 할로겐화합물소화기, K급소화기로 구분됩니다. A급, B급, C급, K급 등 ‘능력단위’에 적합한 소화기를 살포해야 효과적입니다. ② ‘A급’은 나무, 섬유, 종이 등 일반 가연물이 타서 재가 남는 일반화재입니다. ‘B급’은 인화성액체, 가연성액체, 석유 등 유류가 타서 재가 남지 않는 유류화재입니다. ‘C급’은 전기기기, 배선 등 전기화재입니다. ‘K급’은 주방 조리기구에서 일어난 주방화재입니다. ③ ‘방출방식’에 따라 축압식과 가입식으로 구분됩니다. 축압식은 소화기 본체에 소화약제와 함께 가압질소가 충전되었고, 용기내 압력계가 있습니다. 가압식은 1999년 이후 생산이 중단되었고, ..

정보*나눔방☆ 2009.04.08